*메드쉐어 강사, 수강생 단톡방에 올라온 질문 중 제가 답변한 내용을 수정 후 작성한 글입니다.
물리치료 관련 질문은 언제든 편하게 이메일 보내주세요 :: jiptedu@gmail.com
1. 손목 캐스트 제거 후 부종과 ROM 문제
질문: 손목 캐스트를 제거한 후 부종이나 관절가동범위(ROM) 문제가 있을 때, 모빌라이제이션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하나요? 모빌라이제이션 후 부종이 더 심해지지는 않을까요?
답변:
장기간 고정 후 나타나는 활액관절 구축과 부종은 매우 흔한 부작용입니다. 환자의 나이, 손상 정도, 고정 기간, 선천적인 연부조직 유연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구축 및 부종의 정도는 다를 수 있지만, 결합조직의 구축은 강도가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저강도 스트레칭과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꾸준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장기간 고정 후에는 Type I 근육의 위축이 흔히 나타나므로, 저강도/고반복 운동 처방이 초기 재활 단계에서 핵심입니다.
염증이나 골절 등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다면, 적절한 관절 가동술은 언제든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캐스트 제거 후 부종은 치료 후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부종이 올라오는 현상이 조직 회복 단계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강한 강도로 시행하지 말고, 환자가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적절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수치료와 함께, 관절 구축 완화 및 재활 과정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관절가동 범위 및 신장 운동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TKR 수술 후 무릎 관절 견인(Manual Traction)
질문: TKR(무릎관절 전치환술,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 관절에 관절 견인을 적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답변:
근육, 힘줄, 관절막과 같은 결합조직의 물리적 길이를 늘리기 위해서는 인체가 낼 수 있는 힘보다 훨씬 더 큰 힘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도수치료의 효과는 구조적 개념보다는 신경생리학적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도수치료 테크닉을 적용하더라도 환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면(예: 통증 감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릎 관절 견인은 통증 감소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적이 관절 공간 확대와 가동범위 증가라면, 수동적인 치료보다 능동적인 운동치료가 훨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운동치료를 통해 환자의 근력과 기능을 개선하는 접근이 장기적인 결과를 더 좋게 만들 것입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도수치료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 분절 움직임을 버린다는 것 https://nyptstory.tistory.com/15
[메드쉐어] 어깨와 상지에 대한 정형물리치료 평가와 치료 :: https://medshare.co.kr/detail.php?number=343
[메드쉐어] 고관절, 하지에 대한 정형물리치료 평가와 치료 :: https://medshare.co.kr/detail.php?number=383
'질문과 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dshare] Q. 패트릭 검사와 관절 역학 (0) | 2025.01.22 |
---|---|
[Medshare] Q. 신경 가동술(nerve mobilization) 통증 감소 기전 (0) | 2025.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