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증과학8 Bio-psycho-social(BPS) Model Biopsychosocial Model 1. 구조적 문제(biomedical)로 바라보는 통증 통증은 인체가 느끼는 중요한 감각(*sensory라 딱 잘라 정의하긴 또 힘들긴 하지만) 중 하나이며 인체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필수적인 반응으로써 중요합니다. 뇌과학 또는 신경과학에서는 통증을 인체 특정 부분 손상을 알려주며, 이를 통해 특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경고신호로 생각하기도 합니다.우리가 아는 통증, 아니 제가 학부생때 배웠던 '통증'은 자유신경 종말이 여러 요소(역학적 손상, 염증, 온도 등)에 반응하여 척수를 거쳐 뇌에서 해석한 반응이라고 배웠습니다. 따라서 물리치료사로서 통증이 왜? 생기는 지에 대한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 집중했었죠. 예를들어 손상으로 인한 염좌, 염증, 디스크로인한 신경압박 .. 2020. 5. 26. 근골격계 문제를 담당하는 물리치료사에게 도움이 되는 통증 지식 근골격계 문제를 담당하는 물리치료사에게 도움이 되는 통증 지식 1. 통증강도와 조직손상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2. 통증은 인체보호를 위한 정상감각이며, 위협을 인지하기 위한 하나의 경고신호로써 중요하다3. 우리가 느끼는 모든 통증은 'Output of the Brain'4. 어느 정도 정리가 된 통증 분류로는, 1) Nociceptive pain 2) Neuropathic pain 3) Nociplastic pain(*sensitization)5. 조직손상이 있기 때문에 통증이 생긴다는 'biomedical model'이란 프레임에서 벗어나면 새로운 세상이, 아니 이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것이 시작일지도6. 3번과 연관하여, 유해자극을 받아서, 처리하여, 통증으로 인지하는 모든 과정은 신경계(ner.. 2020. 5. 20. 만성 통증과 호흡 만성 통증과 호흡* 만성 통증 기여요소 및 이에대한 해석 - Biopsychosocial model(BPS model).* Breathing Pattern Disorder(BPD) 기여요소 - Biomechanical(poor posture), Physiological(hypocapnia), and Psychological(anxiety, depression) components.1. 통증 양상 : 만성 통증, 특히 sensitization으로 인한 통증양상과 BPD가 있을경우 통증 양상은 거의 비슷한대, 대표적으로 전신에서 느껴지는 듯한 burning pain 또는 척추 전체를 따라 호소하는 지속적인 뻐근함.2. Sympathetic dominance : 만성 통증을 악화시키는 감정적 요소와 잘못된 호.. 2020. 5. 20. 도수치료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이유 (만성 허리통증 환자 케이스 스터디) Chronic Lower Back Pain Case Study부제 :: 도수치료에 집착할 필요가 없는 이유 1. Subjective 50대 여성환자BMI :: OverweightCC :: 만성 허리통증, 잘 기억은 안나지만 10년 정도 주로 좋아졌다 아프다를 반복하지만 일상적인 만성 허리통증, 특히 허리 전체로 퍼지는 듯한 느낌을 계속 가지고 있으며, 심해질땐 이 통증 강도가 증가하고 가끔은 아침에 날카로운 통증이 허리 오른쪽, 왼쪽으로 돌아가면서 아프다. 일상생활 중 가장 불편한 점은 교회 봉사(점심준비)활동을 할 경우와 같이 오래 서있으면서 일을할때 통증과함께 무리하면 찾아오게되는 그 다음날의 심한 통증.통증이 있을때마다 여러 병원에서 물리치료, 그리고 가끔은 마사지 샾에 가서 마사지를 받았으나,.. 2020. 5. 15. 이전 1 2 다음 반응형